축치 자치구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5년 2월 4일) |
추콧카 | |
---|---|
Чукот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 |
기타 transcription(s) | |
• 축치어 | Чукоткакэн автономныкэн округ |
국가: 축치 자치구의 국가[1] | |
![]() | |
좌표: 북위 66° 40′ 동경 171° 00′ / 북위 66.667° 동경 171.000° | |
국가 | 러시아 |
연방관구 | 극동[2] |
경제지구 | 극동[3] |
수도 | 아나디리 |
정부 | |
• 기관 | 두마[4] |
• 구지사[6] | 블라디슬라프 쿠즈네초프[5] |
면적 | |
• 총 | 721,481 km2 (278,565 sq mi) |
• 순위 | 7번째 |
인구 | |
• 총 | 47,490 |
• 추산 (2018년)[9] | 49,348 |
• 순위 | 82번째 |
• 밀도 | 0.066명/km2 (0.17명/sq mi) |
• 도시 | 68.2% |
• 지방 | 31.8% |
시간대 | UTC+12 (캄차카 시간 ![]() |
ISO 3166 코드 | RU-CHU |
번호판 | 87 |
OKTMO ID | 77000000 |
공용어 | 러시아어[11] |
언어 | 축치어 |
웹사이트 | чукотка.рф |
추콧카(/tʃʊˈkɒtkə/; 러시아어: Чукотка [tɕʊˈkotkə]), 공식적으로 축치 자치구[note 1]는 러시아의 가장 동쪽에 있는 연방주체이다. 러시아 극동에 위치한 자치구이며, 서쪽으로는 사하 공화국, 남서쪽으로는 마가단주, 남쪽으로는 캄차카 변경주와 국경을 접하며, 동쪽으로는 미국의 알래스카주와 베링 해협에 해상경계가 있다. 아나디르는 가장 큰 도시이자 수도이며, 러시아에서 도시 지위를 가진 가장 동쪽에 있는 정착지입니다. 러시아에서 미국과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거리는 88.51km 또는 55마일이다.
축치는 주로 민족 러시아인, 축치인 및 기타 토착민이 거주한다. 1992년에 마가단주에서 분리되어 다른 연방주체에 포함되지 않거나 종속되지 않은 러시아의 유일한 자치구이다. 충돌 분화구 호수인 엘기짓긴 호수와 사화산인 아뉴이스키가 있다. 울렌 마을은 러시아의 가장 동쪽에 있는 정착지이며 미국(알래스카)에 가장 가까운 실질적인 정착지다.
자치구는 737,700 제곱킬로미터 (284,800 mi2)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며 인구는 50,526명에 불과하지만 러시아에서 7번째로 큰 연방주체이다.[13] 추콧카는 2번쨔로 인구가 적은 연방주체이고, 러시아에서는 인구가 가장 적은 연방주체다. 이 지역은 러시아의 최북단 지역으로, 1867년 알래스카 판매 이후 서반구에 부분적으로 놓여 있는 러시아의 유일한 지역이다.
행정 구역
[편집]시
[편집]군
[편집]주민
[편집]연도 | 인구 | ±% |
---|---|---|
1897 | 12,900 | — |
1926 | 13,500 | +4.7% |
1939 | 21,524 | +59.4% |
1959 | 46,689 | +116.9% |
1970 | 101,184 | +116.7% |
1979 | 132,859 | +31.3% |
1989 | 157,528 | +18.6% |
2002 | 53,824 | −65.8% |
2010 | 50,526 | −6.1% |
2021 | 47,490 | −6.0% |
Source: Census data |
소수민족
[편집]86개의 민족이 거주하는데, 2만 7,918명이 러시아인 (51.9%), 1만 2,622명이 축치인 (23.5%), 4,960명이 우크라이나인 (9.2%), 1,534명이 에스키모 (2.85%), 1,407명이 에벤인 (2.6%), 951명이 추바시인 (1.77%), 벨라루스인이 1.9%,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w #45-OZ
- ↑ Президен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каз №849 от 13 мая 2000 г. «О полномочном представителе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федеральном округе». Вступил в силу 13 мая 2000 г. Опубликован: "Собрание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а РФ", No. 20, ст. 2112, 15 мая 2000 г.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Decree #849 of May 13, 2000 On the Plenipotentiary Representative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a Federal District. Effective as of May 13, 2000.).
- ↑ Госстандарт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К 024-95 27 декабря 1995 г. «Общероссий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экономических регионов. 2. Экономические районы», в ред. Изменения №5/2001 ОКЭР. (Gosstandart of the Russian Federation. #OK 024-95 December 27, 1995 Russian Classification of Economic Regions. 2. Economic Regions, as amended by the Amendment #5/2001 OKER. ).
- ↑ Charter of Chukotka Autonomous Okrug, Article 27
- ↑ “Putin appointed an official from the "LPR" as the head of Chukotka”. 《Novaya Gazeta Europe》 (러시아어). 2023년 3월 15일. 2023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Charter of Chukotka Autonomous Okrug, Article 40
- ↑ “Сведения о наличи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и земель 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на 01.01.2019 (в разрезе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ervice for State Registration, Cadastre and Cartography. 2022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29일에 확인함.
- ↑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 ↑ “26. Численность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о муниципальным образованиям на 1 января 2018 года”. 러시아 연방통계청. 2019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Об исчислении времени”. 《Официаль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прав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러시아어). 2011년 6월 3일. 2019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Official throughout the Russian Federation according to Article 68.1 of the Constitution of Russia.
- ↑ Resolution of 10 December 1930.
- ↑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1).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Том 1 [2010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vol. 1] (러시아어).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 ↑
- 러시아어: Чукотский автономный округ, tr. Čukotskij avtonomnyj okrug, IPA: [tɕʊˈkotskʲɪj ɐftɐˈnomnɨj ˈokrʊk]
- 축치어: Чукоткакэн автономныкэн округ Chukotkaken awtonomnəken okrug, ckt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