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목록

이 목록에 실린 국가 기준은 1933년 몬테비데오 협약 1장을 참고로 하였다. 협정에 따르면, 국가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특히, 마지막 조건은 국제 공동체의 참여 용인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승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 이 목록에 포함된 모든 국가는 보통 이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이는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국가이다. 하지만 몬테비데오 협약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는 많은 국가가 논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몬테비데오 협약 기준만이 국가 지위의 충분한 자격이든 아니든, 국제법의 견해 차이는 존재할 수 있다. 이 물음에 대한 다른 이론에 대한 고리는 아래에서 볼 수 있다.
기준
[편집]위 기준에 논거하여 이 목록은 다음 208개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
- 일반 국제 승인을 받은 198개 자주 국가.
- 유엔의 가입국이 아니며, 국제 승인을 받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나라로 통치지 않는 10개 자주 국가.
국제적으로 승인 받은 국가
[편집]한국어와 국가 공용어 명칭[2] | 주권 상태와 승인 정보[3] | |||||||||||||||
---|---|---|---|---|---|---|---|---|---|---|---|---|---|---|---|---|
| ||||||||||||||||
가[편집] | ||||||||||||||||
| ||||||||||||||||
![]()
가나 - 리퍼블릭 오브 가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가봉 - 레퓌빌리크 가보네즈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가이아나 - 코오퍼러티브 리퍼블릭 오브 가이아나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감비아 - 리퍼블릭 오브 더 감비아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과테말라 - 레푸블리카 데 과테말라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그러네이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그레나다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그루지야 ![]()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받았다.[5] 그리스는 아토스산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아토스산은 종교 자치 구역인 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을 형성하고 있는데, 수도원 공동체와 그리스 외무부 장관이 임명한 내정 지도자의 연대로 행정이 이루어지며, 종교상의 사법권은 총대주교구에 있다. | |||||||||||||||
| ||||||||||||||||
![]()
기네 - 레퓌블리크 드 기네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기네비사우 - 헤푸블리카 다 기네비사우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나[편집] | ||||||||||||||||
| ||||||||||||||||
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나이지리아는 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2011년 7월 9일 독립하여,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남오세티야 ![]() | ||||||||||||||||
| ||||||||||||||||
남조선 ![]() | ||||||||||||||||
| ||||||||||||||||
남한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네덜란드 왕국은 다섯 국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국가는 강력한 자치권을 행사한다.
네덜란드는 법률상으로 왕국의 구성 국가 중 하나의 명칭이다. 네덜란드 왕국 자체는 유럽 연합 가입 국가이나,[5] 아루바를 포함한 자치령들은 유럽 연합에 속하지 않는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의 일부 영토이나, 스발바르 조약에 따라서 특별권을 행사한다. 노르웨이는 해외 무인지경 영토인 부베섬과 얀마옌섬을 소유하고 있다. 노르웨이가 주장하는 표트르 1세섬과 퀸모드랜드의 영유권은 현재 동결하였다.[7]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뉴질랜드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4] 다음 두 자유 연합 국가의 책무를 맡고 있다.
다음의 속령 국가를 가지고 있다. 뉴질랜드는 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다[편집] | ||||||||||||||||
| ||||||||||||||||
대만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로를 승인하지 않았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하고 있는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덴마크 왕국은 한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독일은 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라[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러시아는 러시아 구성체 (주, 공화국, 자치주, 자치구, 지방, 연방시)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11] 연방 구성체의 일부는 민족 자치권을 행사하는 공화국이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마[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스의 영토인 글로리오소 제도와 주안 드 노바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 |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셜 제도는 미국의 영토인 웨이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말레이시아는 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 국가이다.[6] 말레이시아는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 사라왁 공화국과 북보르네오 공화국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멕시코는 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로코는 서사하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과 분쟁하고 있다. 모로코는 스페인의 영토인 세우타, 알보란섬, 페레질섬, 차파리나스섬, 멜리야, 페논 데 알우세마스로 스페인과 분쟁하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리셔스는 자치 구역인 로드리게스섬을 가지고 있다.[12] 모리셔스는 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 영토인 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트란스니스트리아는 사실상 독립 국가이지만 법률상 몰도바의 영토이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국은 주, 연방구, 해외 영토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미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와 연방 국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외에도 태평양과 카리브해에 위치한 미국령 군소 제도에 속한 무인도 베이커섬, 하울랜드섬, 자비스섬, 존스턴섬, 킹맨섬, 미드웨이섬, 페트렐섬(콜롬비아, 자메이카와 분쟁), 세라닐라섬(콜롬비아와 분쟁), 웨이크섬(마셜 제도와 분쟁), 나바사섬(아이티와 분쟁)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미국은 쿠바의 영토인 관타나모만에 위치한 관타나모만 해군기지를 (영유권 주장 없이) 관할 영토로 가지고 있으며, 협정에 따라 쿠바에게 임차료를 지급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크로네시아는 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바[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베이도스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티칸 시국은 유엔에서 성좌라는 명칭으로 활동 중이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하마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버마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네수엘라는 주, 연방령, 연방구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트남은 파라셀 제도와[17] 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벨기에는 언어 공동체와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벨리즈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 이전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맺은 데이턴 협정의 결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두 개의 최고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18]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북조선 ![]() | ||||||||||||||||
| ||||||||||||||||
북한 ![]() | ||||||||||||||||
| ||||||||||||||||
북키프로스 ![]()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라질은 26개 주와 하나의 연방구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루나이는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 ||||||||||||||||
사[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상투메 프린시페는 자치 구역인 프린시페섬을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르비아는 두 자치주를 소유한 것으로 정하고 있으나,[12] 사실상 코소보 지역의 대부분은 정식 승인을 받지 않은 코소보 공화국이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이셸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 글로리오소 제도와 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루시아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키츠 네비스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4] 제도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소말리아는 현재 과도 연방 정부로 해체되었다. 소말릴란드는 사실상 내부에 있는 국가이나, 법률상 소말리아의 영토이다. | |||||||||||||||
| ||||||||||||||||
소말릴란드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솔로몬 제도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수단은 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과거 남수단 주였던 자치 구역 남수단을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스와질란드 ![]()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스위스는 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스페인은 자치 지방과 도시로 나뉘어 있다. 스페인은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세우타, 알보란섬, 페레질섬, 차파리나스섬, 멜리야, 페논 데 알우세마스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포르투갈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올리벤사, 탈리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스페인은 지브롤터의 영유권으로 영국과 분쟁하고 있다.[13]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골란고원은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 시리아는 하타이 주의 영유권을 놓고 터키와 분쟁을 벌이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아[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랍에미리트 연방은 에미리트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메니아는 유엔 가입 국가 파키스탄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이것은 파키스탄이 나고르노카라바흐 갈등에서 아제르바이잔을 지지하고, 아르메니아가 인도에게 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승인하였기 때문이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헨티나는 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해외 영토인 포클랜드 제도와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아이보리코스트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이티는 미국이 점유한 무인도인 나바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3]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제르바이잔은 자치 공화국인 나히체반과 자치 구역인 나고르노 카라바흐 (Dağlıq Qarabağ)를 가지고 있다.[12] 나고르노 카라바흐는 법으로 국가이지만 실제로는 아제르바이잔의 주로 확정되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압하지야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추방된 분리주의 정부가 카빈다주의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21]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앤티가 바부다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4] 행정 구역 (속령)인 바부다는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에스파냐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에티오피아는 주와 특별시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영국은 네 지역으로 나뉜 영국 연방 왕국이다.[4] 영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를 가지고 있다.
영국 왕실은 다음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4] 주와 준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오스트레일리아는 다음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나라도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지역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오스트리아는 연방국 (Bundesländer)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자치 공화국인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라크의 헌법에는 국가를 구와 주, 수도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로 표시하고 있다.[6][23]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구는 쿠르드 자치구이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주와 준주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24]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과 골란고원, 요르단강 서안 지구 일부를 점유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 지역을 이스라엘의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13] 이스라엘은 철수 계획에 따라서 더 이상 가자 지구에 군사를 주둔시키지 않지만 국제법을 통한 무력 공습이 일어나고 있어서 논쟁이 되고 있다.[25][26][27][28][29][30]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이탈리아는 자치 구역인 아오스타 밸리,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사르데냐, 시칠리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수드티롤을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는 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인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인도는 잠무 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일부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31]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네시아는 특별히 구분되는 네 개의 주로 아체, 욕야카르타, 파푸아, 자카르타를 가지고 있다.[12]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 남몰루카 공화국과 서파푸아 공화국, 아체 주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3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자[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자메이카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조선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엔 가입 국가인 대한민국, 일본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지아는 두 개로 나뉜 자치 국가를 가지고 있다.[12]
압하지야와 남오세티야 (이전 자치 주체)는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이외에 국가로서 일체 인정받지 않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35] 일반적으로 중국(China)으로 알려져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섯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시짱 자치구[12]
여기에 더하여, 다음 특별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다음 구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중화민국 ![]() | ||||||||||||||||
| ||||||||||||||||
중화인민공화국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차[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스터섬은 칠레의 "특별 행정 구역"이다. | |||||||||||||||
| ||||||||||||||||
카[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캐나다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4] 주와 준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코모로는 독립된 섬들로 이루어진 연합 국가이다.[6][12] 코모로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마요트와 글로리오소 제도로 프랑스와 분쟁하고 있다.[13] | |||||||||||||||
| ||||||||||||||||
코소보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콜롬비아는 31개 주 (산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주 포함)와 한 개의 수도 구역 (보고타)으로 구성된 독립 공화국이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쿠바의 영토인 관타나모만에는 미국이 쿠바와의 1903년 조약에 따라서 임차료를 지불하고 있는 관할 영토 (영유권 주장 없음)인 관타나모만 해군기지가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42] 북키프로스는 국가이지만 법률상으로 키프로스의 영토이다. | |||||||||||||||
| ||||||||||||||||
타[편집] | ||||||||||||||||
| ||||||||||||||||
타이 ![]() | ||||||||||||||||
| ||||||||||||||||
타이완 ![]()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타지키스탄은 자치주인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탄자니아는 자치령 잔지바르를 가지고 있는 연합 국가이다.[12]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터키는 시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하타이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13]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투발루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4]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자치 구역인 토바고섬을 가지고 있다.[12] | |||||||||||||||
| ||||||||||||||||
파[편집]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키스탄은 주와 준주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6] 파키스탄은 카슈미르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31]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푸아뉴기니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4] 자치 구역인 부건빌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12] | |||||||||||||||
| ||||||||||||||||
![]() |
미국과의 자유 연합 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스라엘과 영토 분쟁을 빚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포르투갈은 다음 두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영토 (프랑스령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레위니옹, 마요트)는 프랑스 영토의 일부이며, 프랑스는 무인도인 클리퍼턴섬도 소유하고 있다. 프랑스는 또한 다음 해외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피지는 보호령 자치 구역인 로투마섬을 가지고 있다.[12]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 |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필리핀은 자치 구역인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를 가지고 있다.[12] 필리핀은 스프래틀리 군도, 황암도, 말레이시아가 영유하는 사바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14] | |||||||||||||||
| ||||||||||||||||
하[편집] | ||||||||||||||||
| ||||||||||||||||
한국 ![]() | ||||||||||||||||
| ||||||||||||||||
![]()
|
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5] | |||||||||||||||
| ||||||||||||||||
호주 ![]() | ||||||||||||||||
|
이 목록은 주권을 주장하고 점유한 영토를 실제로 관리하고 있으나, 많은 국가와 외교관계를 맺지 못하거나 분쟁이 있는 나라를 설명하고 있다. 마이크로네이션는 이 목록에 포함하지 않는다.
| |
![]()
|
사실상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조지아가 국가 전체를 남오세티야 임시 행정 독립구로 점유하고 있다.[46] |
| |
![]()
|
사실상 터키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1979년부터 터키 키프로스 국가라는 이름으로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참관 국가 자격을 승인 받았다. 또한, 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은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을 주권 국가로 간주하나, 아제르바이잔(나히체반이 속한 주권 국가)은 입장이 다르다. 키프로스 공화국이 국가 전체를 자국의 영토로 점유하고 있다.[47] |
| |
![]()
|
사실상 46개 나라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아프리카 연합과 2005년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에서 결성된 아시아 아프리카 전략 협력의 가입국이다. 모로코가 자유 구역이라고 부르는 영토 전체를 남부 주로 점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모로코가 지배하는 서사하라의 일부와 모로코 장벽의 서부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추방 당하여 알제리에 위치한다. |
| |
![]()
|
현재 에티오피아만이 승인한 상태이다.[48] |
| |
![]()
|
사실상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46][49] 조지아가 국가 전체를 자국의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으로 점유하고 있다. |
| |
![]()
|
대한민국을 포함한 100여개 유엔 회원국과 유엔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중앙유럽 자유 무역 협정의 가입 국가이다. 세르비아 공화국이 코소보 공화국 전체를 여전히 자국의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의 일부로 주장하며 독립 선언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코소보 공화국은 세르비아 공화국이 여전히 지배하는 북코소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
![]()
|
1949년부터 하나의 중국이라는 정통성을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분쟁하는 국가이다. 중화민국은 타이완섬 및 중국 대륙에 인접한 일부 도서들, 스프래틀리 군도의 일부를 지배하고 있으며,[14] 형식상 중화인민공화국과 몽골의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51] 반면 중화민국이 실효지배중인 영토 일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38] 중화민국은 세계 무역 기구, 국제 올림픽 위원회를 비롯한 많은 비유엔 국제 기구에서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잠정적인 명칭으로 참가하기도 한다. |
기타 국가가 아닌 지역이나 단체[편집]
같이 보기[편집]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