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보이기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에는 총 197개 팀이 참가했는데, 개최국 독일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여 31장의 진출권을 놓고 예선을 치렀다.
200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게 될 31개의 티켓 배분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졌다.
- 유럽 (UEFA) : 14장 (52개 팀), 10장 (본선 직행) + 1장 (개최국 독일) + 3장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함)
- 남아메리카 (CONMEBOL) : 4.5장 (10개 팀), 4장 (본선 직행) + 0.5장 (오세아니아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함)
- 북아메리카 (CONCACAF) : 3.5장 (34개 팀), 3장 (본선 직행) + 0.5장 (아시아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함)
- 아프리카 (CAF) : 5장 (51개 팀)
- 아시아 (AFC) : 4.5장 (39개 팀), 4장 (본선 직행) + 0.5장 (북중미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함)
- 오세아니아 (OFC) : 0.5장 (12개 팀, 남미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결정함)
이 대회부터는 지난 대회 우승 팀에 대한 자동 출전권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2002년 FIFA 월드컵 우승 팀인 브라질도 예선에 참가하였다.
예선 그룹
[편집]남아메리카 축구 연맹(CONMEBOL)
[편집]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편집]푸에르토리코 불참.
아시아 축구 연맹(AFC)
[편집]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필리핀 불참. 괌, 네팔 기권. 미얀마 출전 금지.
최종 라운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편집]지부티 불참.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기권.
최종 라운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
[편집]유럽 축구 연맹(UEFA)
[편집]각 조 1위 팀(본선 직행)과 2위 팀은 아래와 같다.
- 개최국
독일 본선 진출.
- 1조
네덜란드,
체코.
- 2조
우크라이나,
튀르키예.
- 3조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 4조
프랑스,
스위스.
- 5조
이탈리아,
노르웨이.
- 6조
잉글랜드,
폴란드.
- 7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스페인.
- 8조
크로아티아,
스웨덴.
- 폴란드와 스웨덴은 2위 팀 가운데 승점이 높아 자동으로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결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2 - 1 | ![]() |
1 - 1 | 1 - 0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우루과이 ![]() |
1 - 1 (2 - 4 PSO) |
![]() |
1 - 0 | 0 - 1 (연장) |
본선 진출국
[편집]
본선 진출 | |
탈락 (기권과 실격을 포함) | |
불참 | |
FIFA 비회원국 |
팀 | 참가 자격 | 본선 진출 확정일 | 통산 출전 횟수 | 연속 진출 횟수 | 마지막 진출 | 역대 최고 성적 |
---|---|---|---|---|---|---|
![]() |
개최국 | 2000년 7월 6일 | 16 | 14 | 2002 | 우승 (1954, 1974, 1990) |
![]() |
아시아 최종 예선 B조 1위 | 2005년 6월 8일 | 3 | 3 | 2002 | 16강 (2002) |
![]() |
아시아 최종 예선 A조 1위 | 2005년 6월 8일 | 4 | 4 | 2002 | 16강 (1994) |
![]() |
아시아 최종 예선 A조 2위 | 2005년 6월 8일 | 7 | 6 | 2002 | 4위 (2002) |
![]() |
아시아 최종 예선 B조 2위 | 2005년 6월 8일 | 3 | 1 | 1998 | 조별 리그 (1978, 1998) |
![]() |
남미 지역 예선 2위 | 2005년 6월 8일 | 14 | 9 | 2002 | 우승 (1978, 1986) |
![]() |
유럽 예선 2조 1위 | 2005년 9월 3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
북중미 최종 예선 1위 | 2005년 9월 3일 | 8 | 5 | 2002 | 3위 (1930) |
![]() |
남미 지역 예선 1위 | 2005년 9월 5일 | 18 | 18 | 2002 |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 |
![]() |
북중미 최종 예선 2위 | 2005년 9월 7일 | 14 | 4 | 2002 | 8강 (1970, 1986)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2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1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
유럽 예선 6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2 | 3 | 2002 | 우승 (1966) |
![]() |
유럽 예선 6조 2위 | 2005년 10월 8일 | 7 | 2 | 2002 | 3위 (1974, 1982)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4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3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
아프리카 최종 예선 5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4 | 3 | 2002 | 조별 리그 (1978, 1998, 2002) |
![]() |
유럽 예선 8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3 | 3 | 2002 | 3위 (1998) |
![]() |
유럽 예선 8조 2위 | 2005년 10월 8일 | 11 | 2 | 2002 | 준우승 (1958) |
![]() |
유럽 예선 1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8 | 1 | 1998 | 준우승 (1974, 1978) |
![]() |
유럽 예선 5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6 | 12 | 2002 | 우승 (1934, 1938, 1982) |
![]() |
유럽 예선 3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4 | 2 | 2002 | 3위 (1966) |
![]() |
북중미 최종 예선 3위 | 2005년 10월 8일 | 3 | 2 | 2002 | 16강 (1990) |
![]() |
남미 지역 예선 3위 | 2005년 10월 8일 | 2 | 2 | 2002 | 조별 리그 (2002) |
![]() |
남미 지역 예선 4위 | 2005년 10월 8일 | 7 | 3 | 2002 | 16강 (1986, 1998, 2002) |
![]() |
유럽 예선 7조 1위 | 2005년 10월 12일 | 10 | 1 | 1998 | 4위 (1930, 1962) |
![]() |
유럽 예선 4조 1위 | 2005년 10월 12일 | 12 | 3 | 2002 | 우승 (1998) |
![]()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9 | 1 | 1990 | 준우승 (1934, 1962) |
![]()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8 | 1 | 1994 | 8강 (1934, 1938, 1954) |
![]() |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12 | 8 | 2002 | 4위 (1950) |
![]() |
남미-오세아니아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2 | 1 | 1974 | 조별 리그 (1974) |
![]() |
아시아-북중미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1 | 1 | 첫 출전 | 첫 출전 |
- (H) - 개최국으로서 자동 진출
- 2 분리되기 이전의 유고슬라비아의 기록을 포함함.
- 굵은 글씨로 표시된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조 추첨에서 톱 시드를 배정받은 팀이다.